전체 글 2626

興盡悲來(흥진비래) 꼭 잊지 말자!

興盡悲來 흥진비래 [xìng jǐn bēi lái] 흥겨움이 다하게 되면 슬픈 일이 (스며) 온다는 말로, 인생 항로에 있어 좋고 나쁜 일은 起伏(기복)에 따라 일어난다는 뜻. 興 흥할, 일으키다 흥 盡 다할, 극에 닫다 진 悲 슬플, 서럽다 비 來 올 래 '재앙이 뒤집혀 복으로 된다'는 轉禍爲福(전화위복)과는 반대의미이다. 차라리 노자 도덕경 제58장에 나오는 '재앙에는 복이 의지하고, 복에는 재앙이 엎드려 있다 [禍兮福之所倚(화혜복지소의), 福兮禍之所伏(복혜화지소복)]'라는 의미와 비교해 볼만한 것 같다. 당나라(唐--)의 시인(詩人)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에 나오는 말이다. 「하늘은 높고 땅은 아득하니, 우주(宇宙)가 무궁(無窮)함을 깨닫겠다. 흥(興)이 다하자 슬픔이 오니, 성쇠(盛..

고사성어 유래 2023.03.25

로마법 따르듯 入鄕循俗(입향순속)

入鄕循俗 입향순속 그 지방에 가거든 그 풍속에 따라야 한다는 말. 入 들 입 鄕 고을, 고향, 마을, 시골 향 循 좇을, 돌다 순 俗 풍속, 관습 속 • 입향종향(入鄕從鄕), 수향입향(隨鄕入鄕) • When in Rome, do as the Romans do [로마에 가면 로마법에 따르라]. 두산백과는 그 나라에 들어가는 사람은 그 고장의 풍속을 따른다[入其國者 從其俗(입기국자 종기속)]. 《회남자(淮南子)》 〈제속편〉의 이야기이다. 그러나 이와 비슷한 문구는 다른 여러 문헌에서도 찾을 수 있다. 특히 《중용(中庸)》에서는 “부귀에 처하여서는 부귀를 행하고, 빈천(貧賤)에 처하여서는 빈천을 행하고 오랑캐에 처하여서는 오랑캐에서 행하고, 환란에 처하여서는 환란을 행한다[素富費 行乎富貴 素貧賤 行乎貧賤 素夷..

고사성어 유래 2023.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