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고 또 적다(積多)

서울대 이전보다 국립대 교수진 교차는?

삼 보 2020. 7. 25. 03:00

 

서울대를 옮길 생각 말고 국립대 교수 강의를 교차시켜라!

 

 

시골에서 학교를 다녀본 학생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선생님이 가르치는 방법에 따라 이해를 쉽게 하는 학생이 있는가하면 이해할 수 없어 애를 태우며 질문을 계속하는 학생이 있다.

물론 잘 가르치지 못하는 선생님은 쉽게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에게 나무라는 선생도 없지는 않았지만 그 즉시 감당할 수 없는 교사라면 放課(방과) 후 교무실로 찾아오라고 친절히 대해주던 선생님도 없지 않았을 것이니까!

모든 학생들의 귀에 쏙쏙 잘 들어갈 수 있게 편안하고 쉽게 가르치는 선생님을 찾아내기란 쉽지 않은 곳이 지방 학생들 아니던가?

고로 학생들 수준만 좋아서 좋은 학교가 아니라 교수 수업방법이 좋아 유명한 학교로 인정되던 시절이 분명 있었다.

지금은 인터넷이 있어 쉽게 찾아볼 수도 있지만 오래전에 학업을 했던 학생들은 모르면서 그냥 대충 넘어가던 시절이 非一非再(비일비재)했었다는 것을 말하고 싶은 것은,

유명한 교수를 한 학교에서 지정된 학생들에게만 가르치게 하지 말라는 권고를 하고 싶어서다.

물론 지방 대학이라고 해도 대학교 교수가 될 정도의 수준이라면 尖銳(첨예)한 학업 방식을 꿰뚫고 있을 것이지만 말이다.

그래서 그 교수들을 교차시켜가면서 학생들을 지방까지 찾아다니며 자신의 지식을 더 많은 학생들에게 전수시키면 어떠할 것인가?

 

 

 

어느 학교든 유명 교수는 분명 있는 법이다.

하지만 교수 수업 방식에 따라 어떤 학생하고는 잘 맞지 않아 최선의 성적을 낼 수 없을 수도 있는 법!

전국 국립대학 교수진을 () 단위 출장 방식으로 교차[교환() 교수]시킬 수 있지 않는가?

국립대 교수는 공무원과 다름없으니 서울대학교의 지정교수로만 둘 생각 말고 교육부에 적을 둔 것으로 가름하여 전국 국립대학으로 매주 출장 방식을 하든지 짧은 기간을 지정해 모든 지역 국립대학교 학생들을 찾아가 고르게 가르치는 방식으로 하면 어떨 것인가?

기존 교환교수제와 달리 교육부에서 정한 다음 제도적으로 각각의 학교마다 시간표를 만들어 똑 같은 교육 판박이가 돼야 할 것으로 본다.

물론 각 지역 국립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학생들은 프랑스 방식[Baccalaureat; 바칼로레아]처럼 하든지 기존 우리나라의 수학 능력 시험을 그대로 유지하여 일률적으로 전국 동일수준이 되는 제도로 만들면 될 것 아닌가?

이해력 좋은 학생과 傳授(전수)능력 좋은 교수가 전국 어디서든 만날 수 있게 하는 제도를 만들면 굳이 서울대학교를 이전할 필요가 없지 않는가?

각 대학교 명칭도 서울은 국립대학교 서울 대학 부산은 국립대학교 부산 대학 전남은 국립대학교 전남 대학 등등으로 정하는 방식은 어떤가?

우리 순수하고 고귀한 한글보다 굳이 영어를 써야 좋다는 학생들이라면 서울 Campus'로 경북은 국립대학교 경북 Campus' 같은 방식으로 하면 될 것 아닌가?

<서울대학교>라는 간판을 원하던 시절은 이제 20세기 쪽으로 그냥 놔둬야 할 것 아닌가?

 

 

 

부동산 폭등으로 인해 首都(수도) 서울 이전하면서 만일 서울대학교를 세종시 쪽으로 옮긴다면 세종시 집값 폭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일?

학교는 그대로 두고 교수진들을 출장 방식으로 交叉(교차) 시키면서 학습 연구 자료들을 지방 대학 쪽으로 적극 지원한다면 모든 국립대학교 수준이 평준화될 것 아닌가?

굳이 각 지역에서 서울대학교 쪽이나 강남으로 이사하지 않아도 지방 어디서든 똑 같은 수업을 할 수 있을 것인데 엄마들 치마 바람내며 바삐 쏘다닐 일 없지 않을까?

서울대학교 교정[Campus]을 새로 옮겨 꾸미는 것도 쉬운 일 아닐 것이고 기존으로 서울대학교만 바라보며 쌓아왔던 지역 소상인들 마음도 움직일 일 없을 것이며 획기적으로 뒤집는다는 소리 들을 필요도 없지 않겠는가?

정부에서 잘 알아서 할 일이지만 쉬운 길로 가는 것이 가장 올바른 ()가 아닐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24615&cid=46615&categoryId=46615

 

 

 

 

다음은 머니투데이가 어렵게 적은 보도내용이다.

‘ "서울대 없어져?"..행정수도 추진에 고개드는 '이전·폐지론'’

 

더불어민주당의 '행정수도 완성' 움직임에 때 아닌 서울대 이전론이 불거졌다. 당청이 곧바로 "서울대 이전은 검토하지 않았다"고 부인했지만, 여권에서 줄곧 검토해 온 '국공립대 통합' 구상이 행정수도 이전과 맞물려 제기되면서 서울대의 위상이 흔들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24일 서울신문은 "민주당이 행정수도가 공무원만을 위한 신도시에 그치지 않도록 서울대와 KBS까지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학교와 같은 기반시설을 갖춰야 제대로 된 도시 기능이 가능하다는 분석이었다.

 

반면 민주당은 곧바로 "서울대와 KBS의 지방이전을 검토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청와대도 주요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이 검토된다는 보도에 대해 고위관계자 발언으로 "그런 방안은 검토된 바 없다"는 입장을 냈다.

 

눈앞의 서울대 이전 가능성은 진화했지만, 정치권에선 행정수도 이전이 본격화될 경우 다시 논란이 될 이슈로 보고 있다. 여권이 오래전부터 서울대를 포함한 국립대학의 체계 개편 의지를 드러내 왔기 때문이다.

 

이날 당권에 도전하는 박주민 민주당 최고위원은 KBS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 인터뷰에서 행정수도 이전 논의와 관련해 "지방에 한 10개 거점 대학이 있는데, 거점 대학에 매년 24000억원에서 3조원 정도 투자해 교육 수준을 높이고, 이 대학들을 네트워크로 묶어서 가칭 '한국대학'으로 부를 수 있다" "어느 대학을 가든 동일 수준의 높은 교육을 받고 그다음에 어느 대학을 졸업하더라도 같은 자격이 인정되는 것"이라는 구상을 설명했다.

 

이에 진행자가 '서울대 폐지론과 맥이 같은 것 아니냐'고 묻자 박 최고위원은 "서울대 폐지론과는 약간 결이 다른데, 포함해서 고민해볼 수도 있다"고 답했다.

 

박 최고위원의 구상은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후보 시절 얘기했던 '국공립대 통합'과 같은 맥락이다. 서울대와 지방 거점 국립대를 묶어 공동 선발·운영·학위로 가자는 방식인데, 프랑스의 모델을 빌려 온 것이다.

 

 

학부모들로 구성된 시민단체 회원들이 작년 11 6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제공=뉴스1

 

 

학부모들로 구성된 시민단체 회원들이 작년 11 6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제공=뉴스1

프랑스는 1971년부터 파리의 소르본 대학 등 대다수 대학을 국립화·평준화해 통합했다. 대학 입학 자격시험 '바칼로레아'를 통과하면 전국 모든 대학에 지원·입학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프랑스 수도 파리에선 파리 1대학은 경제·경영, 파리 2대학은 법, 파리 11대학은 의학 등 전공을 나눠 파리에만 총 13대학까지의 국립대학이 존재한다.

 

반면 국공립대 통합 반대 진영에선 이 같은 구상이 서울대 폐지론과 다름없다고 비판한다. 예컨대 서울대·부산대·경북대·강원대 등이 같은 공동학위를 받으면, 서울대를 하향 평준화시키는 것과 다름없다는 주장이다. 또 명문대 선호에 따른 쏠림이 서울대를 제외한 고려대·연세대 등 서울 시내 주요 사립대학에 쏠린다면, 국공립대 통합의 주요 취지인 '대학 서열화 해소'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 비판론자들은 파리대학을 13곳으로 쪼갠 프랑스 역시 '그랑제콜'이란 엘리트 고등교육기관을 둔 점을 주목한다.

 

이에 따라 정치권의 행정수도 이전 논의가 가시화될 경우 서울대 이전과 국공립대 통합 등 현재 서울대의 위상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정책 변화는 언제든 재점화될 수 있을 것이란 게 정치권의 시각이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자치화 균형 포럼'에서도 김사열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은 일부 수도권 대학의 지방 이전 가능성에 대해 "국가가 강제할 수 없다"면서 "사립대는 특히 (이전의) 어려움이 있고, (·공립대인) 서울대나 인천대도 법인화돼 있다"고 말했다.

 

반면 3선의 친문 핵심 이광재 민주당 의원은 "지방대학이 완전히 무너지고 있는데 지방 일자리가 생길 수 있느냐" "지식이 있는 곳에 일자리가 탄생한다는 원리를 확고히 하지 않으면 절대 지역 불균형 문제를 못 풀 것"이라고 고 지적했다.

변휘 기자 hynews@mt.co.kr